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봉 2500 실수령액 공제액

by 마음너머있는 2022. 7. 4.

 

연봉 2500 실수령액 공제액

지금은 내가 회사에서 일할수 있는 일자리가 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요즘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백수들이 너무 많아요. 계속해서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니까요

 

 

본인도 일단 집에 있으니까 답답하죠. 그리고 짜증만 납니다. 또 본인을 보는 부모님은 오죽하면 답답할까요. 앞으로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이 잇습니다.

 

 

 

일단 대학교 졸업하고 대기업이나 좋은 회사에 들어가면 연봉부터가 차이가 있으니까요 해당 직장으로 취업을 하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필요한 인재는 한정적이니까요 모든 사람을 다 취업시킬수는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지요. 회사에서도 좋은 인재를 고르듯이 일반개인 지원자들도 뭔가 복지 혜택도 많고 이왕이면 연봉이 높은 회사들을 찾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초일류 회사들은 경쟁률이 치열하니까요 내가 마음놓고 취업하는게 쉽지 않아요. 또 그에 따른 여러가지 내가 자격을 갖추어야만 합격할수 있다는 것을 다들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 내년도 최저임금에 대한 협의가 잇었죠. 서로에 대한 입장차이로 많은 분들이 갈등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노동자 입장에서는 최대한 1시간 일하더라도 더 많은 임금을 받는게 유리하긴 해요

 

 

하지만 경영자 입장에서도 이렇게 한사람의 개인이 아니라 회사에는 수많은 근로자들이 있으니까요 경영자층에서는 약간의 최저임금을 높이는것도 큰 부담이 되죠

 

 

그리고 일반 자영업자도 마찬가지고요. 이제는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자영업을 운영하는 본인 가게주인등이 근로자를 고용하는게 아니라 본인이 직접 가족들과 함께 일을 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대졸 초임하면 대기업에 취업을 하면 연봉 5천이상은 되는데요. 일반 중소기업은 아무래도 여건이 안좋다 보니 연봉이 최저임금을 토대로 해서 2500만 넘어도 만족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어느새 우리 눈높이는 높아 있어서 다른사람도 이정도 연봉을 받으니까 나도 받아야지 하는데 그게 쉽지 않으니까요 연봉 2500이라고 했을때 실제 받는 실수령액과 또 세금으로 공제액은 어느정도 인지 알아보도록 할께요

 

우리가 네이버에서 간단한 임금계산기를 통해서 위와같이 월환산금액을 확인하면 되는데요 여러가지 연금과 근로소득세를 제하고 나면 실제 1년에 내가 수령하는 액수는 2200만원이 되고 한달로 환산했을때는 187만원 받는걸로 되어있습니다.

 

그러면 연봉을 3천만원으로 했을때는 월 어느정도 금액을 받는지 알아볼께요. 224만원의 수령액이 되니까요 위와같이 네이버에서 내가 받는 연봉을 계산하면 실제 수령액을 나타나게 되니 부양가족수나 아니면 자녀수까지 넣으면 비과세액으로 확인이 가능한것을 알수 있습니다.